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신용카드
- 프랑스어
- 명일역맛집
- 코엑스맛집
- 영어공부
- 부동산공부
- 영어발음
- 파베레
- 역삼역맛집
- 잠실맛집
- 경포대스카이베이
- 프랑스어공부
- 임대차3법
- 요리기초
- 불어공부
- 직장인신용카드
- 2021연말정산
- 명일동맛집
- 부동산
- 강릉스카이베이
- 삼성역근처맛집
- 결혼준비순서
- 결혼준비
- 신용카드추천
- 연말정산
- 영어발음팁
- 삼성역맛집
- 프랑스어공부하기
- 영어발음공부
- 방이동맛집
- Today
- Total
목록연말정산 (5)
Ma chambre

급여명세서의 갑근세와 주민세가 무엇인가요? 직장인을 다니게 되면 소득에 따라 납부해야하는 세금이 있습니다. 바로 근로소득세입니다. 그 외에도 월급내역에 적혀있는 가장 기본적인 사항은 4대보험인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옆을 자세히 보면 갑근세와 주민세가 있습니다. 과연 갑근세와 주민세가 무엇일까요? 차근차근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갑근세란? 갑근세는 갑종근로소득세의 줄임말입니다. 더 어렵다고요? 소득세의 일종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최근에는 갑근세라는 용어 대신에 근로소득세라고 바꿔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즉 갑근세=근로소득세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하지만 일부 회사나 기관에서는 갑근세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종종 있지요. 근로소득세는 그럼 무엇일까요? 개인이 ..

연말정산 기납부세액이란 (갑근세와 주민세에 대하여) 연말정산은 그여 소득에서 원천징수한 세액의 과부족을 연말정산하는 일인데요. 이를 위해서는 기납부세엑(미리 낸 세금)에서 결정세액(연말정산 한 결과 세금) 을 차감하여 차감징수세액을 알아야합니다. 즉 기납부세액이 많다면 13월의 월급을, 기납부세액이 더 적다면 13월의 폭탄이 생기는 법이지요. **결정세액 연말정산 한 결과 근로자가 납부해야할 연간 근로소득세 기납부세액이란 소득세 기납부세액이라고 말합니다. 쉽게 말해 이미 낸 세금입니다. 연말정산을 통해서 세금을 더 내야할 수도, 환급을 받을 수도 있는데요. 이미 낸 세금이 있다면 해당 세금은 제외하고 내면 되고, 더 많이 낸 세금이 있다면 환급을 받을 수 있겠지요? 보통 4대보험에 가입된 직장을 다니시는..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 하는 방법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 공제자료 조회방법 오늘근 국세청 홈택스사이트를 활용하여서 연말정산하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세청은 연말정산 간소화로 공제자료를 편리하게 제공합니다. 연말정산 기간에는 별도의 사이트를 구비하여 안내하고 있으니 좀 더 손 쉽게 연말정산을 시행하기 바랍니다. 1.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 사이트 접속하기 하단의 사이트 URL을 통하여 접속 www.hometax.go.kr/ui/pp/yrs_index.html?isCdn=Y 국세청 홈택스 Copyrightⓒ National Tax Service. All rights reserved. www.hometax.go.kr 네이버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 검색 2. [연말정산간소화 바로가기] 클릭 연말..

2021 연말정산 청약저축 소득공제 받기 이전 포스팅에서는 연말정산 중 월세 공제받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그외에 부동산과 관련된 연말정산 세액공제 받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제대상 근로자 본인 명의로 청약 저축을 가입한 사람 총 급여액 7,000만원 이하인 무주택 세대주 과세연도 주택마련 저축(청약 저축, 주택청약 종합저축)에 납입한 금액 최대 240만원 한도의 40%(96만원) 공제 즉, 1년에 240만원까지 청약저축을 하셨다면 급여액과 무주택 세대주인 경우 96만원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이 내용을 모르셨던 분이라면 2022년도에는 월 20만원씩 납입하신다면 96만원의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공제 받는 방법 주택청약종합저축 세대주 근로자가 무주택 확인서를 다..

2021 연말정산 기초중의 기초, 연말정산 꿀팁 코로나로 정신없이 보낸 2020년도 어김없이 12월이 지나가고 1월이 다가오고있습니다. 13월의 월급일지, 13월의 세금폭탄일지, 이번 연말정산도 다가오고있는데요. 연말정산의 기초중의 기초를 정리해보고자합니다. 나만 모르고 다 알고 있는 연말정산 꿀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월세 공제를 받깅 위해선 주민등록 옮겨 세대주 되기 월세액 공제를 받는 것은 세액공제 중에서 가장 큰 규모입니다. 총급여가 7000만원 이하인 경우 월세지급액을 10%~12%, 최고 750만원 범위에서 90만원까지 월세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공제를 받기위해서는 세대원이 아닌 주민등록을 옮겨 세대주가 되어야합니다. 만약 올해 공제 신청을 못했더라면 5년 안에 경정청구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