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 chambre

가계부실위험지수 란? 가계부실위험지수 뜻 (HDRI) 본문

금융

가계부실위험지수 란? 가계부실위험지수 뜻 (HDRI)

람블 2021. 11. 5. 07:30
반응형

가계부실위험지수 란? 가계부실위험지수 (HDRI) 정리


요즘 기사 보면 가계부채가 높아졌다는 내용을 많이 볼수 있다. 그래서 가계부채에 관한 경제용어를 좀 알아보고자한다. 

가계부추는 급증세가 지속되고 있고, 기준금리도 한차례 올라간 가운데, 앞으로 우리의 경제는 어떻게 변화가 될까. 


가계부실위험지수 (HDRI)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지표

가계 부실위험지수는 가구의 DSR과 DTA가 각각 40%, 100% 기준으로 이를 초과하는 경우 ‘위험가구’로 분류된다.

산출방법 : 원리금상환비율과 부채/자산 비율을 결합하여 산출하는 지수 
*원리금상환비율(DSR) :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소득 측면에서 평가하는 것
*부채/자산 비율(DTA) :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자산측면에서 평가하는 것 


** 가계부실위험지수(HDRI·Housing Debt Risk Index)는 가구의 소득 흐름은 물론 금융 및 실물 자산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지표. 개인과 집안의 소득 대출이 얼마나 했는지에 따라 경제적으로 위험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지표 이는 원리금상환비율(DSR)과  자산측면에서 평가하는 부채/자산비율(DTA)를 결합해 산출한 지수 



고위험가구란 : 소득 및 자산 측면에서 모두 취약 한 것  
고DTA가구란 : 자산 측면에서 취약한 것
고DSR가구란 : 소득 측면에서 취약한 것 


참고, 위험, 고위험 가구의 의미는 가구의 채무상환능력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함인 것으로 이 가구가 당장 채무상환 불이행상황에 직면한 것은 의미하지는 않는다. 


가계부실 위험지수가 높다는 뜻? 현재 시장의 소비가 활발하다는 것과 동시에 대출로 부채를 늘리는 리스크가 높다는 것.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