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 chambre

천연가스 뜻부터 액화천연가스 뜻까지 정리 본문

금융

천연가스 뜻부터 액화천연가스 뜻까지 정리

람블 2021. 9. 5. 21:32
반응형

천연가스 뜻부터 액화천연가스 뜻까지 정리 

고부가 가치 LNG선, 하반기 조선업 이끈다. 
환경 규제, 교체 주기 맞물린 슈퍼사이클, 타다르 등 대형 수주 기대감 
-한경 비즈니스-


액화천연가스란?

액화천연가스는 섭씨 영하 163도로 액화된 천연가스를 의미한다.
천연가스의 주 성분인 메탄을 저장과 운송을 위해 액화시킨 것

 


액화 천연가스 특징
- 액화천연가스는 가스 상태에서의 천연가스의 1/600 가량의 부피 운송에 유리 
- 무색, 무취, 무독성이며 비부식성
- 가스상태로 증발하였을 때의 가연성, 냉동, 질식 등의 위험요인 존재, 그러나 폭발 위험은 적은 편이다. 
- 친환경 규제와 함께 LNG에 대한 니즈도 증가되고 있다 
- 저유황유 대비 15~21% 더 적게 탄소를 배출한다


액화천연가스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온도를 극 저온으로 유지하고 기체로 소실되는 양을 최소화 해야 한다. 


그럼, 천연가스가무엇일까.

천연가스는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 중 하나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모든 가스를 포함하고 일반적으로는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연소성 가스를 의미한다. 


천연가스의 종류  (저장방법에 따라 분류)

1.LNG  액화천연가스로 우리에게 가장 익숙하다. 천연가스는 기체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운송에 경제성이 다소 떨어진다. 그래서 천연가스를 영하 161도에서 냉각해 액화시킨 것으로 저장이나 운반이 용이하다 

2.CNG : 압축천연가스로 기체 상태의 천연가스를 압축해 부피를 200분의 1수준으로 줄인것이다. 주로 자동차 연료로 쓰이며 국내의 천연가스버스는 모두 CNG를 사용한다. 

3.PNG 배관천연가스 : 가스전에서 기체상태의 가스를 빼 파이프라인을 통해 직접 공급하면 PNG가 된다. 러시아, 유럽 등에서 PNG로 가스를 수출한다.

반응형
Comments